응답한 알파고, 응답하라 최택

[김익현의 미디어 읽기] 이세돌-알파고 2차전 감상법

데스크 칼럼입력 :2016/03/10 12:43    수정: 2016/03/10 12:59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 기자 페이지 구독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설마했던 일이 일어났다. 프로바둑 최고수인 이세돌 9단이 구글 인공지능 알파고에게 불계패를 당했다.

이 장면을 지켜본 수많은 사람들은 엄청난 충격에 빠졌다. ‘인공지능의 역습’을 우려하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 내 주변의 어떤 사람은 “살 맛이 안 난다”는 말까지 했다. 홧김에 술 한 잔 하러 간다는 이들도 있었다.

프로기사들이 받은 충격은 더한 듯 했다. 10일 아침 SBS TV와 인터뷰한 서봉수 9단은 ‘천지개벽 같은 일’이라고 평가했다. 서 9단은 “세상을 까딱하면 인공지능이 지배할 수가 있는 거죠. 영화의 한 장면이 현실로 되는 거 아닌가 이런 생각도 막연히 듭니다”란 말도 했다. 당연한 반응일 것이다.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 알파고의 1차전 대국 장면.

무한대 경우의 수 중 최적의 수를 택해야 하는 바둑. 그랬기에 바둑은 마지막까지 인간 직관의 영역으로 남을 것이란 평가를 받아왔다. 그 난공불락의 성이 무참하게 허물어진 셈이다.

솔직히 털어놓고 시작하자. 이번 승부. 나도 깜짝 놀랐다. 이세돌 9단이 질 수도 있을 것이란 생각을 하긴 했지만, 첫 판부터 불계패가 나올 줄은 꿈에도 생각 못했다.

이런 놀라운 성과를 이뤄낸 구글에 아낌 없는 박수를 보낸다. ‘1억 달러’ 상금 내걸고 어마어마한 홍보 효과를 누리는 그들이 살짝 얄밉긴 하지만, 대단한 건 분명하다.

■ 놀라운 건 분명하지만, 지나친 공포감은 금물

하지만 난 이번 결과를 보면서 지나친 공포감에 사로잡힐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인공지능이나 머신러닝의 파괴력을 얕보진 말아야 할테지만, 과대평가도 금물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골치 아픈 바둑 얘기는 잠시 접어두고 ‘달달한’ 드라마 얘길 한번 해보자.

난 어제 ‘알파고’ 경기 장면을 보면서 최택을 떠올렸다. 맞다. 얼마 전 끝난 인기 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 나오는 바로 그 최택 얘기다.

그 드라마에서 최택은 바둑 최고수다. 중국 최고수들을 연이어 꺾는다. 바둑에 관한한 당대 최고수다.

하지만 바둑 이외 분야로 눈을 돌리면 얘기가 달라진다. 최택은 신발끈도 제대로 묶을 줄 모른다. 사회성도 전혀 없다. 경제 관념도 없고, 융통성도 전혀 없다.

천진난만하게 웃고 있는 박보검, 아니 최택. (사진=tvN 캡처)

그저 잘 웃고, 사람 좋은 아이. 사교력 있고, 똘똘한 덕선이 앞에선 어린애 마냥 해맑은 웃음을 짓는 아이. 그게 바둑을 떠난 최택의 모습이다.

이쯤 읽은 독자들은 “무슨 얘기?”라고 반문할 지도 모르겠다. 알파고와 최택이 무슨 관계가 있냐고 따져 물을 수도 있겠다.

지금 우린 분명 산업 전환기에 살고 있다. 기계가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을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팽배해 있다. 이미 로봇 기자까지 등장해 기자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만들고 있다.

이 문제는 지난 1월 열린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도 진지하게 논의됐다.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한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가 왕창 사라질 것이란 경고 메시지도 나왔다. 알파고를 바라보는 심기가 불편한 건 이런 상황이 오버랩되기 때문일 것이다.

우주의 역습을 다룬 공상과학(SF) 영화 역시 원초적 공포에 힘을 보탰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은 서봉수 9단처럼 ‘기계에 지배당하는 인간’이란 미래상을 떠올리기도 했다.

■ 로봇이 몰고 올 불평등엔 지금부터 대비해야

내가 알파고를 최택에 비유한 건 이런 분들을 위로하기 위한 게 아니다. 실제로 그렇다고 생각한다. 바둑엔 최적화돼 있지만, ‘올마이티 알파고’는 아니란 것.

물론 다른 분야를 집중적으로 파고들면 또 최고 능력을 가질 순 있다. 그렇다하더라도 ’인간을 지배하는 인공지능’ 운운하는 건 과한 반응이라고 생각한다. 그건 SF 영화에서나 성립됨직한 장면이다.

어제 한 판으로 알파고의 인공지능이 어느 수준인지는 만천하에 공개됐다. 하지만 알파고는 ‘바둑(Go)’의 으뜸(alpha)일 따름이다. 인간을 지배할 전지전능한 능력을 갖고 있는 건 아니란 얘기다.

그렇다고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이 가져다 줄 미래 사회를 넋놓고 바라보잔 얘긴 아니다. 개인적으로든, 사회적으로든, 분명 대비해야 한다.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 알파고의 대국

하지만 그런 물결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꾸잔 얘기다. 스티븐 호킹의 말처럼 "인류를 위협하는 건 로봇이 아니라, 그 로봇이 만들어낸 소득을 제대로 분배하지 못하는 자본주의”이기 때문이다.

문제의 본질은 바로 그 곳에서 찾아야 한다는 얘길 하고팠다. 그러기 위해선 알파고의 모습에서 ‘인간을 지배하는 무서운 로봇’의 이미지를 떠올리는 건 별 도움이 안 된다. 알파고는 ‘바둑 잘 두는 최택의 인공지능 버전’이기 때문이다.

이세돌 9단은 오늘 알파고와 2차전 승부를 벌인다. 결과로 어떻게 나올진 아무도 모른다. 본격적으로 반격에 나설 수도 있지만, 또 다시 패할 수도 있다.

관련기사

설사 패하더라도, 인공지능의 능력에 공포감을 갖진 말자. ‘인공지능계의 최택’을 만들어낸 인간의 기술력에 맘껏 박수를 쳐주자.

그리곤 인공지능과 미래사회에 대해 좀 더 찬찬하게 고민을 해보자. 스티븐 호킹의 멋진 말을 진지한 미래 담론의 출발점으로 삼아보는 것도 의미있을 것 같다.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sini@zd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