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뉴스댓글 3대 쟁점, 어떻게 풀까

'뉴스따로, 댓글따로' 등 고민…AI-알고리즘에 기대

인터넷입력 :2018/02/22 14:36    수정: 2018/02/22 15:49

"뉴스 내용과는 상관없는 댓글이 달리고 토론장이 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뉴스 댓글 정책 변경 필요성에 대해 공식 언급했다. 한 대표는 지난 21일 ‘네이버 커넥트 2018’ 행사 기자회견에서 악성 댓글로 인한 사회 부작용에 대해 상당부분 공감한다면서 정책 변화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댓글 조작 논란에 휘말린 네이버가 어떤 해법을 들고 나올 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 대표는 이날 전문가와 이용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뒤 댓글 관련 정책을 변경하겠다고 말했다. 또 인공지능(AI) 등 알고리즘을 통해 댓글로 인한 부작용을 개선하겠다는 뜻도 함께 밝혔다. 네이버는 이미 뉴스 편집, 검색, 쇼핑 추천, 여행 등의 서비스에 AI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 [쟁점1] “뉴스와 상관없는 댓글 난무”→AI로 ‘자동 접힘’ 할까?

한성숙 네이버 대표

이날 한 대표는 '뉴스 내용과 상관없는 댓글 난무'란 문제를 제기해 관심을 모았다. 예전엔 뉴스와 댓글 내용이 1:1 관계였다면, 지금은 내용과 관계 없는 댓글이 달리면서 엉뚱한 토론 공간으로 변질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의미였다.

이런 지적은 일반 독자들도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다. 최근 들어 뉴스 내용과 관련 없는 댓글이 달리면서 쓸데 없는 진영 논리로 확대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한 대표는 이 문제에 대해 뚜렷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진 않았다. 네이버 역시 아직은 구체적인 해결책은 내놓지 않고 있다.

다만 이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을 추정해 볼 순 있다. 이를테면 AI 알고리즘을 통해 뉴스 내용과 상관없는 댓글을 자동으로 접히게 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수 있다. 자동 접힘된 댓글은 따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별도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물론 이런 방법은 논란을 불러올 가능성도 적지 않다. 알고리즘 분석이 완벽하지 않을 경우 정상적인 댓글까지 접힐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 불필요한 오해를 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기술 정확도를 100%로 끌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실제 적용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 [쟁점2] “정치 기사, 일반 댓글과 다른 패턴”→금칙어 설정, 패턴 따라 차단?

네이버 댓글 통계 화면.

한성숙 대표는 또 정치 기사에 달리는 댓글이 연예, 스포츠, 경제 같은 다른 분야 댓글과 패턴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문제점도 지적했다.

정치 기사의 경우 유독 좌우 진영 간 공방이 치열하게 벌어진다. 그러다보니 한쪽 의견을 내세운 댓글이 무더기로 올라온다거나, 특정 사용자가 댓글을 한꺼번에 쏟아내는 등의 사례가 나타날 가능성이 많다.

물론 그런 현상만으로 기계적인 댓글 조작이 개입됐다고 단정할 순 없다. 다만 집단적으로 댓글 활동을 하는 경우가 더 많고, 건전한 토론 수준을 넘어 과열된 논박과 비방 글들이 넘쳐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우선 생각할 수 있는 건 정치 뉴스 댓글에 한해 금칙어를 설정하는 방안이다. 또 정치 뉴스 댓글에서 발견되는 특정 패턴을 AI 기술로 심층 분석, 분류한 뒤 부적절한 글들을 차단하는 쪽으로 기술 보완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금칙어의 경우 띄어쓰기나 특수문자를 활용해 피해갈 수 있고, 특정 패턴의 댓글을 배제하거나 제한을 둘 경우 이에 대한 적정성 논란과 알고리즘 공개 요구 등의 공격이 있을 수 있다.

■ [쟁점3] “댓글 작성수 제한 고민 필요”→하루 댓글 20개 제한 수정할까?

마지막으로 한 대표는 사용자 당 하루 댓글 작성수 제한(댓글 20개, 답글 40개)에 대한 부분도 거론하며, 이런 제한의 적절성도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제한을 아예 풀거나, 개수를 더 줄이는 방법 등 여러 안을 놓고 사용자와 외부 전문가들의 의견을 취합해 정책을 바꿀 수도 있다는 뜻이다.

참고로 다음 포털의 경우 댓글, 답글 상관없이 한 사용자가 하루에 남길 수 있는 댓글 제한 수는 30개다.

그런데 이 역시 쉽지 않은 숙제다. 댓글 제한수를 더 줄일 경우 이용자들이 사회적 이슈나 자기 관심사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고 토론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을 제한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뉴스 콘텐츠 소비가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관련기사

반대로 댓글 제한을 완전히 없앨 경우에는 악성댓글들이 활개치도록 방임했다는 사회적, 정치적 비판을 받을 수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한성숙 대표의 발언은 현재 논의 되고 있는 댓글과 관련된 문제에 공감하고 내부에서 활발히 논의 중이라는 것을 알리고자 한 의도”라며 “빠른 변화나 결정이 자칫 또 다른 논란을 낳을 수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과 내실 있는 토론을 통해 더 잘 된 결과물을 내는 데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