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진의 Newtro] 화웨이 쓰지 말까요?

데스크 칼럼입력 :2019/05/24 17:32    수정: 2019/05/25 09:40

“보안에 대한 이슈가 아니라 미중 패권경쟁에서 시작된 일 아닌가. 이미지 측면에서도 이미 적지 않은 타격을 받았다. LG유플러스 뿐만 아니라 화웨이에 납품하는 국내 ICT 기업들이 있는데 사안의 본질에서 벗어난 불이익이 우려스럽다.”

LG유플러스의 한 관계자는 최근 화웨이 이슈를 언급하면서 이같이 토로했다.

미국 상무부가 지난 16일(현지시간) 화웨이를 비롯한 68개 계열사를 거래제한 대상기업 목록에 올리면서 동맹국인 한국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미국이 한국에 화웨이 배제의 압박수위를 높였다는 얘기가 전해지면서 화웨이의 5G 장비를 도입한 LG유플러스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LG유플러스의 주가는 23일 하루 동안에만 6.35% 하락했다.

LG유플러스 측은 “화웨이로부터 내년까지 구축될 5G 장비를 확보했으며 유지보수에 필요한 부품에 대해서도 자체 개발하거나 대체 가능하다는 답변을 들었고 5G 네트워크를 구축하거나 운용하는데 문제가 없다”고 사실 관계를 전파하는데 안간힘이다.

화웨이 이슈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ICT업계를 들썩이게 만들었다. 미 정부 발표에 맞춰 구글은 안드로이드 라이센스 거래를, 영국의 반도체 설계회사인 ARM은 화웨이와 거래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일본의 NTT도코모, KDDI 등도 스마트폰 판매 연기와 거래 중단을 알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 하나가 발휘한 힘이다.

사실 화웨이 이슈는 미국이 제기한 백도어, 즉 보안 우려에서 시작됐다. 하지만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이를 보안 이슈가 아닌 미중 간 무역 분쟁이나 패권경쟁에 비롯된 일로 해석했다. 해외에서도 마찬가지다. 영국에서 만난 독일 기자들은 “It's political issue"라며 선을 그었다.

이는 2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말에서도 유추할 수 있다. 그는 “미중이 무역협상에 합의하면 화웨이는 거래의 일환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는 것을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라며 사실상 화웨이 이슈가 보안 문제가 아닌 협상용 카드였음을 간접 시인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미국의 동맹국들.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는 속담, 딱 그 짝이다.

그럼 우리는 화웨이를 배제해야 되는가. 사실 이 고민은 국내 이통사들이 먼저 했다. 고민 끝에 SK텔레콤과 KT는 화웨이 장비를 도입하지 않았고 LG유플러스는 도입했다(물론 여기에는 보안 이슈보다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삼성 장비로 시작해 글로벌 선도자로 나서야 한다는 인식이 반영됐다).

그 결과로 LG유플러스는 홍역을 치루고 있고, 일각에서는 화웨이에 대한 배제가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이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과연 그럴까.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소재 부품 수출액은 3천162억 달러다. 가장 많은 수출대상국은 중국으로 전체의 32%, 1천11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 중 화웨이가 삼성 등 국내 기업들로부터 구매한 금액은 106억 달러(11조6천억원)다.

중국 수출액의 10%를 화웨이가 차지한다. 지난 3년간 화웨이가 한국에서 구매한 금액은 22조3천억원에 달한다. 삼성전자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지난해 5대 주요 매출처 중 하나가 화웨이다.

삼성전자를 포함한 국내 ICT기업들에게 화웨이는 경쟁자이지만 가장 가까운 파트너다.

관련기사

2016년 우리는 사드(THADD) 사태 때 중국의 보복을 경험한 바 있다. 정치?지리학적으로도, 경제를 수출에 의존하는 한국이 누구의 손을 들어줄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옛 속담에 ‘산을 낀 곳에서는 산을 뜯어먹고 바다를 낀 곳에서는 바다를 뜯어 먹으라’고 했다. 외교에서만 고도의 정밀한 전략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산업계에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