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172만명 일자리가 뒤바뀐다

92만명 일자리 늘고, 80만명 일자리 사라질 전망

방송/통신입력 :2018/03/08 14:34

4차 산업혁명을 통한 사회 변화가 빨라지면서 오는 2030년 국내에서만 172만개 일자리가 새롭게 생기거나 사라지는 등 급격한 고용 변화가 일어날 전망이다.

직업에 따라 증가하는 일자리 수는 92만명, 감소하는 일자리 수는 80만명이다.

일자리 수로만 따지면 12만명이 증가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하지만 고용 형태의 큰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관련 생태계 조성과 전문인력 양성, 사회적인 논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는다.

8일 박성희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정책관은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5차회의에 앞서 사전 브리핑을 통해 “2030년 취업자가 12만명 더 증가할 전망”이라며 “디지털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면서 취업자 수는 초기 기준전망보다 낮지만 2027년 이후 경제성장 효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고 말했다.

이같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 전망은 4차위 참석 위원에 보고되는 내용이다. 지난해 3월 이후 각계 전문가들이 통례를 바탕으로 새로운 모형을 개발해 나온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나온 첫 인력 수요 전망 보고서다.

이 보고서는 한국보다 앞서 독일과 일본이 내놓은 현상유지와 개혁이라는 2가지 전망 방식을 참고해 ‘기준전망’과 ‘혁신전망’으로 구분해 진행됐다.

기준전망이란 4차 산업혁명을 포함한 국내외 환경변화에 대해 특별한 대책을 강구하지 않고 최근 성장추이가 지속되는 상황을 반영했다. 혁신전망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국내외 환경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해 경제 산업구조 혁신을 통한 성장을 유도하는 상황을 가정했다.

박성희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정책관.

■ 혁신전망 연평균 2.9% 경제성장, 제조-서비스업 부각

4차 산업혁명을 통해 새로운 기술 개발과 관련 기술의 상용화로 인한 시장의 확대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기준전망에 비해 성장률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4차 산업혁명에 적극 대응한 혁신전망에서는 2030년까지 연평균 2.5% 성장이 예상되는 기준전망보다 높은 연평균 2.9%의 경제성장이 가능할 전망이다.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산업 간 융복합화로 제조업 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에서도 성장이 증가할 전망이다.

우선 제조업 분야를 보면 4차 산업혁명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높은 조립가공 산업과 중간재를 공급하는 기초소재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서비스업 분야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주로 관련된 ▲출판, 영상, 정보, 통신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등의 수요확대와 성장에 따른 소득수준 향상 등으로 증가폭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증가 직업별 취업자 수 증가. 단위=천명

■ 어떤 일자리가 사라지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급부상하는 직업군은 취업자 수도 비약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반면 기술혁신에 따른 생산성 증가로 일부 산업의 일자리는 감소할 전망이다.

우선 고용증가가 예상되는 직업으로 정보통신 서비스업, 전문과학 기술서비스업, 전기전자기계산업 등이 꼽힌다. 4차 산업혁명 선도산업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보건복지서비스업, 문화, 예술, 스포츠 등은 성장에 따른 소득증가 등으로 취업자 수가 증가할 전망이다.

반면 도소매, 숙박과 음식점, 운수, 공공행정 등은 기술혁신 가속화로 취업자 수 증가폭이 감소될 전망이다. 매장 판매직, 운전과 운송 관련직, 청소경비 단순노무직이 대표적인 일자리 감소 예상 분야라는 것이다.

감소 직업의 취업자 수 증감. 단위=천명

매장판매직의 경우 디지털 유통 채널의 확대와 판매 서비스의 자동화로 관련 직업 취업자 수 감소를 막기 어려워 보인다.

관련기사

또 자율주행과 자동화된 운송시스템 발달로 운전 운송 관련직 취업자수고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성희 국장은 “4차 산업혁명은 인구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따른 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면서도 “산업과 고용 등에 큰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산업 생태계 조성, 전문인력 양성, 노동시장 보호 확대, 직무 직업전환 훈련 강화, 사회적 논의 활성화 등 중장기적 관점에서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