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신뢰회복 나선 LG·삼성 "생태계 복원에 총력"

나란히 고강도 안전대책 발표…정부 원인파악이 급선무

디지털경제입력 :2019/10/14 13:31    수정: 2019/10/14 13:31

정부의 대책 발표에도 잇따라 화재가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에 대해 배터리 제조사인 LG화학과 삼성SDI가 추가 대책을 내놨다. 화재 원인을 정확히 파악해 위험성을 차단하고, 만약 불이 나더라도 큰 화재로 확산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도입하겠다는 게 골자다.

양사의 이같은 조치에는 리스크를 연내 해소하고 무너진 ESS 생태계를 하루빨리 복원하겠다는 간절함이 담겼다.

ESS 화재 사고 총 26건 중 양사 제품이 관련된 사고는 20여 건에 이른다. 최근 일어난 3건의 화재 모두 양사 배터리가 설치된 사업장에서 발생했다. 원인 불명의 화재가 장기화하면서 3분기 실적에도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지난 달 29일 오후 7시 36분 군위군 우보면 한 태양광발전설비업체의 ESS 저장소에서 발생한 원인불명의 화재. (사진=경북소방본부)
LG화학, 삼성SDI CI. (사진=각 사)

■ LG화학 "안전장치 도입·확산 방지제품 내놓겠다"

LG화학의 ESS 안전강화 대책은 화재를 사전에 방지하는 안전장치 도입, 화재 발생 이후 확산을 방지하는 제품 출시 등 두 가지 방안으로 요약된다.

이날 LG화학은 "외부 전기충격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해 모듈퓨즈와 서지 프로텍터, 랙퓨즈 등을 도입하고, 여기에 절연에 이상 발생시 전원을 차단시켜 화재를 예방하는 설비인 IMD를 추가로 설치하겠다"고 말했다.

IMD는 실시간 모니터링과 절연저항 상태 수치화 등이 가능한 장치로 알려졌다. LG화학은 자사 배터리를 사용 중인 ESS 사업장을 상대로 IMD 교체·설치 작업을 진행했다. 또 앞으로 신규 사업장에도 이 설비를 필수적으로 설치할 방침이다.

LG전자 100kW(키로와트)급 태양광 발전용 올인원(All-in-one) ESS(Energy Storage system).

LG화학은 "화재 확산 위험성을 전면적으로 차단키 위해 화재확산 방지 제품 출시도 준비 중"이라며 "현재 국제인증을 시험 통과한 상태로, 추가 테스트가 마무리되는 되는대로 관련 시스템을 적용해 화재 확산 위험성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화재 원인 파악과 함께 ESS 설치업체에 대한 교육도 강화한다. 화재가 발생해도 기록이 소실되지 않도록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를 보호하는 파이어프루프 HDD(fireproof HDD)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겠다는 설명이다.

또 선제적 조치의 하나로 2017년 중국 난징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포함한 사이트는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70%로 제한 가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손실 비용도 자사가 부담해 사업주들의 부담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정확한 원인규명을 위해 정밀 실험과 분석, 가혹한 환경에서의 시험까지 포함해 올해 말을 시한으로 진행한다.

허은기 삼성SDI 전무가 14일 서울 중구 삼성전자 기자실서 열린 ESS 관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 삼성SDI "2천억원 투입해 특수 소화시스템 도입"

같은 날 오전 삼성SDI도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강도 높은 안전성 대책을 발표했다.

자사 ESS 제품에 안전장치를 이달까지 설치하고, 대형 화재로 번질 가능성을 차단키 위해 최대 2천억원 규모의 자체 예산을 투입해 특수 소화 시스템을 도입하겠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삼성SDI가 이달 중으로 마무리짓는 1단계 안전성 강화 조치에는 ▲3단계 안전장치 설치 ▲배터리 운송·취급 과정에서 충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 부착 ▲ESS 설치·시공 상태 감리 강화와 시공업체에 대한 정기교육 ▲배터리 전압·전류·온도의 이상 신호를 감지해 운전 정지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는 펌웨어 업그레이드 등이 포함됐다.

삼성SDI의 ESS 안전강화 대책 주요 내용. (자료=삼성SDI)

삼성SDI는 "ESS 화재의 주된 원인으로 밝혀진 외부 유입 고전압, 고전류를 차단하고 이상발생 시 시스템 가동을 중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 등을 설치했다"며 "예기치 않은 요인에 따른 화재 확산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특수 소화시스템을 추가로 적용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어 "비록 자사의 배터리가 화재의 원인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지만, 잇따른 화재로 국민과 고객을 불안하게 해서는 안된다는 최고경영진의 강력한 의지로 이번 고강도 안전 대책을 마련했다"며 "ESS 산업을 살려야 한다는 책임감으로 국내 모든 사이트의 안전성 종합 대책 관련 비용을 자체 부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터리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국정감사에서도 ESS 화재 사건이 도마 위에 올라 업체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정부도 업체들과 협력해 하루빨리 원인 파악과 대책에 나서 불확실성을 해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