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 바로투자證 인수...금융 영토 확장 가속화

긍정적 기대감 동시에 견제와 규제로 어렵단 양방향 평가

금융입력 :2020/02/05 16:00    수정: 2020/02/06 08:58

카카오페이가 바로투자증권 인수를 일단락했다. 회사 명도 바로투자증권에서 카카오페이증권으로 바꾼다. 카카오페이가 바로투자증권을 인수한 이유는 증권업계를 뒤흔들려는 의도도 있지만 카카오톡 플랫폼을 기반으로 카카오페이가 하지 못했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분석된다.

5일 금융위원회는 정례회의를 열고 카카오페이의 바로투자증권에 대한 대주주 적격성 승인 신청을 검토하고 대주주 적격성에 대해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대주주 적격성에 대해 금융당국 승인을 받은 카카오페이는 인수 대금을 완료하면 바로투자증권의 최대주주가 된다. 카카오페이는 바로투자증권의 지분 60%를 인수하는 계약을 2018년 10월 체결했다.

■ 최대 강점, 카카오톡 플랫폼

업계는 카카오페이가 금융 전반의 판도를 흔들 것으로 보고있다. 카카오페이의 무대가 되는 카카오톡이란 강력한 플랫폼이 있어서다. 카카오페이는 카카오톡 플랫폼으로 3천여만명의 고객을 확보해둔 상태다.

카카오톡으로 받는 카드 사용 내역, 세금 고지서 등의 서비스를 카카오페이와 연결할 수도 있다. 이 데이터를 활용해 카카오페이가 자산 관리 서비스에도 나설 수 있다. 신용정보법 개정 내용 중 하나인 마이데이터와 바로투자증권사의 자산 관리 노하우 결합은 핀테크는 물론이고 기존 금융사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

카카오페이는 은행업 라이선스가 없는 은행에 준하는 금융서비스를 하고 있다. 선불전자지급수단(카카오페이머니)로 돈을 주고 받는다. 바로투자증권의 증권업 라이선스는 자금 집금을 넘어 이자를 줄 수 있다. 수신 행위가 가능해진 것이다. 증권사 겸영업무의 대출 채권 인수와 중개 업무도 포함되고, 금융당국이 선불전자지급에 신용기능을 추가하겠다고 예고해 파급력이 커질 수 있다.

즉, 카카오페이의 바로투자증권 인수는 증권업계만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특히 국내 증권사들의 주식 거래와 관련한 수수료 수익은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과 PC를 통한 홈 트레이딩 시스템으로 거래 수수료 무료 정책이 있는 시점에 카카오페이가 이를 더 획기적으로 개선하기도 어렵다. 금융감독원이 집계한 2019년 3분기 기준 국내 증권사의 수수료 수익 중 수탁 수수료는 8천211억원으로 2분기 8천947억원에서 8.2%(736억원) 줄었다.

이밖에 카카오페이는 금융 상품을 타 금융사에서 소싱하는 것만이 아닌 증권사를 통해 직접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차별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는 것.

충전된 카카오페이머니만이 아닌 지속적으로 자금이 유입돼 자본 흐름 개선도 기대된다. 증권사 인수와 디지털 보험사 설립으로 매월 수익이 발생하는 것이다. 기존 카카오페이의 수익은 중개 수익이나 카카오페이 결제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높았다. 오히려 결제에 카카오페이를 쓰면 은행에 펌뱅킹 수수료를 부담해야 했다. 오픈뱅킹 시행으로 은행에 내야 하는 비용은 다소 줄었지만 지속 수익 구조는 없었다.

카카오페이는 삼성화재와 손잡고 디지털 손해보험사 설립 작업을 진행 중이다. 수신 업무와 금융투자상품 판매, 보험까지 한 데 담아 생활밀착형 디지털 금융플랫폼으로 탄생할 수 있다.

카카오페이

■ 약점, 감독과 플랫폼 독점 제한 여부

가장 큰 약점은 플랫폼을 통한 정보통신기술(ICT)기업의 금융서비스 감독과 견제다. 카카오페이는 전자금융업자 감독 규정에 따르고 있지만 바로투자증권 인수로 준수해야 하는 규제가 더 늘어난다.

관련기사

한국금융연구원은 연초 금융위에 거대 플랫폼 기업이 지위를 이용해 금융서비스를 독점적으로 공급하는 것에 대한 대안을 주문한 바 있다. 금융시장에 지배적 플랫폼을 구축할 경우 불공정 경쟁으로 갈 수 있어, 비금융사의 독점적 우위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미 일본은 지난해 12월 17일부터 인터넷 통신판매 등을 운영하는 거대 IT 기업인 플랫폼 사업자에 대한 규제안을 확정했다. 플랫폼 사업자와 입점업자 간 거래 투명화, 독점금지법 상 우월적 지위 남용의 소비자 거래 적용, 개인데이터의 보호 강화, 기업 인수 심사 제도 개선 등이 담겼다. 플랫폼 사업자는 시장 내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집적·구조화해 효율적으로 활용할 경우 막대한 편익을 얻을 수 있는 반면 네트워크 효과와 낮은 한계 비용으로 독과점 폐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