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소형 군집위성 국산화율 평균 62%

데이터 저장 용량 1024 Gbits, 전송속도는 600Mbps.

과학입력 :2024/04/24 10:39

24일 우주 저궤도 진입에 성공한 우리나라 초소형 군집위성 1호 성능은 어느 정도일까?

우선 기본 구성은 위성 본체와 탑재체다. 카메라 성능이 오토바이를 점 2개로 표현할 정도는 된다.

운용 궤도는 고도 500㎞의 태양동기궤도를 돌게 된다. 수명은 3년이다.그러나 대부분 3년 정도 더 운용하는 경우도 있다.

탑재체에 들어가는 데이터 저장 용량은 1024Gbits다. 전송속도는 600Mbps.

전자광학탑재체에 들어있는 카메라가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는 지상 폭은 고도 500km에서 10km 범위다. 촬영각은 +30도 ~ -30도다.

지상해상도 흑백 1m 이내, 컬러 4m 이내로 촬영할 수 있다.

위성본체는 기능에 따라 구조계, 열제어계, 추진계, 자세제어계, 전력계, 소프트웨어계, 원격측정명령계, 관측자료통신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구조계는  인공위성의 뼈대가 되는 부분. 위성 몸체와 태양 전지판, 탑재체와 각종 센서류를 장착하기 위한 보조 패널과 지지대 등으로 구성돼 있다.

열제어계는 영하 100~영상 150도를 오가는 혹독한 우주 환경을 견디도록 설계돼 있다.

추진계에는 위성 궤도 조정을 위한 전기추진 시스템 추력기가 사용된다. 1.3kg의 고체 형태의 인듐을 사용한다.

위성에 들어가는 부분품 국산화율은 평균 62%다. 38개 부품에 대해 국산화를 진행했다. 비행소프트웨어와 광전자부, 검보정 소프트웨어는 100% 국산화했다.

관련기사

그외 열제어계가 20%, 전력계 및 명령/데이터처리계 등이 50%의 국산화율을 보인다. 외산을 쓰고 있는 부품은 자세 및 궤도제어계 8개 부품과 지상시스템으로 모두 수입산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초소형 군집위성은 경량‧저전력‧저비용 개념으로 개발 중"이라며 "오는 2027년 마지막 위성이 올라가게 될 때는 국산화율도 상당부분 진척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