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지자체도 업무망·인터넷망 분리 추진

지자체 정보보안 대책 수립…보안 인력 확충·AI 탐지 체계 도입

컴퓨팅입력 :2020/03/10 14:48    수정: 2020/03/10 15:44

행정안전부는 사이버보안 수준이 취약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올해 망분리 정보화전략계획수립(ISP), 보안 인력 확충, 인공지능(AI) 기반 보안관제 체계 확산 등 다양한 정보보안 대책을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지자체는 중앙 부처와 달리 외부망(인터넷망)과 내부망(업무망)이 분리돼 있지 않아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실제 지자체를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 공격이 지난 2015년 8천700여건에서 지난해 2만2천여건으로 증가하는 등 매년 약 26%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행안부는 올해 중 지자체별 다양한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망분리 방안을 마련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망분리에 착수할 계획이다. 열악한 지자체 사이버 보안 인프라 확충을 위해 총 62명의 전문 보안 인력도 연내 확충하게 할 계획이다.

광역 지자체의 경우 평균 5.2명의 인력이 평균 13개 정도의 기초지자체를 관리, 감독하면서 통신망과 정보시스템 보안,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 개인정보 보호, 보안 관제 등 다수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보안관제 업무는 담당 공무원 한 명이 외주 위탁 인력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행안부는 올해 확보된 인력이 충원되면 지자체의 사이버보안 수준 강화를 위한 기본적인 인적 역량을 갖출 것으로 기대했다.

행안부는 지자체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효율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AI 기반 탐지, 진단 체계도 강화한다. 작년 경기, 경북, 대구 등 3개 광역 시도에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한 사이버위협 탐지시스템을 우선 적용한 결과 보안 이벤트 자동분석 등으로 대응 시간 단축 등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전체 광역자치단체에 확산한다. 17개 시도에 축적되는 다양한 사이버 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에는 알려지지 않은 공격에 대해서도 탐지·대응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지자체가 해킹됐을 때 그 피해가 다른 지자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국가정보통신망의 지지체 접점 구간에 사이버 공격 탐지시스템을 설치해 운영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정부는 지자체에서 운영 중인 각종 정보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지자체가 스스로 진단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취약점 진단 공통기반도 구축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예정이다.

박상희 행정안전부 정보기반보호정책관은 “행정안전부는 지자체 사이버 보안 수준을 끌어 올리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관련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올해 추진되는 여러 사업과 대책들이 지자체의 협력이 없이는 성공하기 어려운 만큼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