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A "한국, AI활용 최강국 돼야"···올해 예산 1700억 투입

황종성 원장 24일 기자간담회...공공·민간에 AI확산 위해 여러 사업 시행하고 글로벌 협력도 확대

컴퓨팅입력 :2024/04/24 15:40    수정: 2024/04/24 15:50

"우리나라가 AI활용 최강국이 돼야합니다."

황종성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원장은 24일 서울 광화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이날 NIA는 부서별 주요 사업과 함께 AI활용 강국을 위한 NIA 전략과 과제를 발표했다.

1987년 1월 한국전산원(NCA)으로 출발한 NIA는 2015년 7월 본원을 대구로 이전 했고 2020년 12월부터 현재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란 긴 이름을 쓰고 있다. 이에 정관을 개정, 25일부 기관명을 '한국지능정보원'으로 줄여 쓸 예정이다. 조직은 원장과 부원장 밑에 1실 8본부 4단 42팀으로 이뤄져 있다. 올해 총 예산은 6869억원(과기정통부 3450억원, 행안부 2415억원, 기재부 10억원, 국방부 33억원, 방통위 65억원, 용역사업 850억원, 자체 및 지방이전 26억원)이다. 이중 AI관련 예산은 1704억원으로 전체 예산의 25% 정도다. 1704억 중 국가 AI정책 지원에 53.7억, AI활용확산 촉진에 527억, 국가AI인프라 구축에 1124억원을 각각 사용한다.

황원장은 37년 역사 NIA를 ▲전산화 시대(1987~2000, NIA 1.0) ▲인터넷 시대(2001~2012, NIA 2.0) ▲데이터 시대(2013~2023, 데이터 시재) ▲인공지능 시대(NIA 4.0, 2024~227) 등 네 단계로 구분하며 "이제 NIA가 AI강국 구현을 위해 네번째 도전에 나선다"면서 "한국의 AI 기술을 세계 최고로 높이겠다는 말씀은 못 드리겠지만 우리가 AI 전문기관이 되면 한국이 AI 활용에 최강국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실제 NIA는 황 원장 체제를 맞아 '세계최고 인공지능 활용 전문기관 도약'이라는 새 비전을 세웠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조직 재편과 함께 3대 추진 전략으로 ▲AI 싱크탱크 기능 강화 ▲AI활용과 확산 공통기반 고도화 ▲AI 선도모델 조기 개발 및 확산을 설정, 추진한다.

황종성 NIA 원장이 24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관 현황과 비전을 설명하고 있다.

 황 원장은 미국 IBM이 만든 '글로벌 AI도입 지수 보고서'를 인용하며 "AI기술개발보다 도입과 활용이 더 어렵다"면서 "AI 활용 역량이 높은 나라가 진정한 AI강국"이라고 짚었다. 또 AI혜택을 국민, 기업, 정부 모두가 누릴 수 있게 국가AI정책개발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AI산업 육성 및 신뢰성 확보에도 나서겠다고 밝혔다. 구체 방안도 제시했다. ▲AI서비스의 사회적 영향력을 평가할 방법론을 개발하고 ▲AI확산 저해 요인 발굴과 개선 ▲글로벌 AI 거버넌스 협력 ▲AI 확산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나선다. 

특히 AI전문기술과 서비스 개발, 사업관리 방법론을 개발해 AI신뢰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의 일환으로 AI 도입 영역별 기능과 성능에 대한 기준 수립과 가이드라인(지침)을 만들고, AI활용 공공서비스 개발 응용 표준도 마련해 제시한다. 사업계획 수립과 관리, 유지 운영 등 AI사업 전반에 대한 관리 방법도 제공한다.

이어 황 원장은" 공공서비스 AI 융합·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도입-활용-확산의 전주기 지원체계를 마련하겠다"면서 "AI활용 테스트베드도 제공하겠다"고 했다. 국가 AI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AI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검증 및 실증 환경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검증 및 실증 대상은 엣지AI, AI플랫폼, 양자AI기술, 지능형네트워크 등이다.

공공 부문을 지렛대로 한 AI 초기수요 창출에도 나선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공공부문 신규 서비스 모델 개발과 민간 AI서비스 수요-공급 매칭 지원, 상용 모델 개발 및 성과 공유 지원에 나선다. 누구나 쉽게 AI 혜택을 누리는 '포용 사업'도 시행한다. 포용 분야 올해 전체 예산은 300억원이다. 고령층과 장애인을 위한 대화형 AI키오스크 확산과 보육원 아동을 위한 AI 교육 솔루션 보급, 지역 주민 체감형 AI서비스 개발 및 확산에 나선다.

AI근간을 이루는 데이터 분야 지원 방안도 밝혔다. AI스타트업, 중소벤처, 학계 등이 AI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신뢰할 수 있는 AI데이터 활용 기반을 구축하고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요가 높은 분야별 특화 말뭉치 데이터와 멀티모달 데이터 등 생성AI 개발에 최적화한 데이터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의 자유로운 제공과 공유, 활용 체계도 구축한다. 가공하지 않은 원본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기반도 마련한다. 이외에 데이터 기반 AI신뢰성 조성을 위해 분야별 벤치마크 데이터 구축을 확대(국내 및 글로벌 5종)하고 작년에 신뢰성 지표를 개발한데 이어 올해는 적용한다. 아세안 등 비영어권 국가와 협력해 AI신뢰성 분야 리딩에도 나선다.

글로벌 AI파트너십도 구축한다. 이와 관련, 황 원장은 "AI분야 국제협력 신사업 발굴로 국내 AI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고 개도국을 대상으로 AI개발센터(AIDC) 구축과 운영으로 파트너십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NIA는 앨런 튜링 연구소 등 글로벌 AI선도 연구소와 협업체계를 구축, 공동연구를 활성화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발표를 마치고 기자들과 질의 응답 시간에 황 원장은 AI일상화와 관련해 "장기적으로 보면 정부가 재정 투입을 하는 것보다는, 모멘텀을 제공해 우리나라의 구조와 체질을 AI 시대에 맞게 바꾸는게 좋고 그게 목표"라며 "정보화 시대의 초고속 인터넷이 그런 예"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 기업과 국민이 저렴한 비용으로 최고의 기술을 쓰게 하는, 이런 거대한 인프라를 설계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고 덧붙였다.

또 국회에 계류중인 AI법과 관련해서는 "AI시대이니 앞으로 수십, 수백개 AI법이 나올 거다. 그 첫 단추가 국회에 있는 AI법으로 일종의 기본법 같은 것"이라면서 "규제가 빠졌다, 뭐가 빠졌다 등 걱정하는 분들이 많이 있는데, 필요한 것을 작게 그리고 빨리 만드는 애자일 방법처럼, 필요한 제도를 남보다 빨리 만들어 놓고 개선해가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NIA